샵플mPOS에서 미송이나 주문 항목을 만드는 경우, 나중에 이 미송/주문을 관리하고 처리해야 합니다. 샵플미송잔금 앱을 이용하면 내 챙길상품(미송, 주문 등) 현황을 확인하고 쉽게 완료처리할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 샵플미송
iOS/근무시간 적용
기기별로 근무시간을 지정하고, 내 근무시간에 해당하는 내용을 구별하여 볼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mPOS 버전 1.5.1, 거래내역 버전 1.8.14, 미송잔금 버전 2.3.2부터 지원합니다. (카탈로그는 1월 20일 배포 예정인 버전 1.9.1부터 지원합니다.)
iOS/챙길물건 작업목록 인쇄
다음 샵플미송잔금 업데이트(버전 2.2.7)에서는 주간 챙길물건을 작업목록 파일로 만들어 인쇄하거나 PC 또는 다른 사람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지원합니다(엑셀 파일).
아래에서는 버전 2.2.7을 기준으로 기능을 설명합니다.
아이폰에서 바로 인쇄하기 위해서는
– 애플에서 제공하는 Numbers 앱을 설치해야 하며(무료, 설치하러 가기)
– 아이폰에서의 무선 인쇄를 지원하는 프린터가 필요합니다.
주간내역에서 하단의 [파일]을 탭하면 파일 열기 또는 파일 보내기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iOS 버전에 따라 열기 및 보내기가 유사한 기능 목록을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
연계 가능한 앱 목록에서 [Numbers에 복사]를 선택하세요.
(애플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Numbers 앱이 설치되어 있어야 표시됩니다.)
위의 화면은 최신 버전의 Numbers 앱의 화면입니다. 구 버전의 iOS를 사용하고 계신 경우 화면이 위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 다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아이폰에서의 무선 인쇄를 지원하는 프린터가 준비되어 있는 경우, Numbers 앱에서 우측 상단의 […] 아이콘을 탭하여 인쇄 기능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린트]를 선택하세요.
출력 사이즈를 조절하신 후, 우측 상단의 [프린트]를 선택하세요.
기본으로 자동 맞춤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프린트 버튼의 왼쪽에 있는 설정(톱니바퀴 아이콘)으로 들어가서 페이지 방향이나 번호 표시 등을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아이폰 출력을 지원하는 프린터가 네트워크에 정상적으로 물려 있는 경우, 프린터 목록에서 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프린트]를 탭하여 출력하실 수 있습니다.
프린터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프린터가 정상적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이므로, 프린터의 아이폰 출력 지원을 확인하시고 아이폰 및 프린터의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에서는 구 버전의 iOS를 사용하고 계신 경우, 이전 버전의 Numbers 앱을 설치하신 후의 화면에 대한 설명입니다. (최신 화면의 Numbers와 화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구 버전에서 [Numbers에 복사]를 선택하시는 경우 위와 같이 파일 목록에 파일이 새로 생성됩니다. 새로 생성된 파일을 탭하여 열어 주세요.
우측 상단의 도구 모양 아이콘을 탭하여 프린터 기능으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프린트]를 선택하시면 위의 최신버전에서와 동일한 프린트 준비 화면이 표시됩니다. 위의 설명에서와 마찬가지로 프린트하실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목록에서 [카카오톡]을 선택하고 받을 사람을 선택하여 다른 사람에게 파일을 전송할 수도 있습니다. 받을 사람을 나 자신으로 선택할 수도 있으며, 카카오톡 PC 버전에서 파일을 확인하실 수도 있습니다. 엑셀 파일이므로 파일을 PC에서 편집하거나 인쇄하실 수 있습니다.
Android/매입잡기 및 빼기
새로 매입을 잡고 나중에 그 매입을 빼주는 방법을 보겠습니다. 혹시 초기 금액이 입력 안되어 있으면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이렇게 매입을 2개 잡았습니다. 매입금이 새로 84,000 생깁니다.
매입금을 확인해보겠습니다. “고객별 검색”으로 그 고객을 찾습니다. 확인할 수 있는 곳은 여러 군데 있습니다. 내거래처 (보기)나 영수증에서 이름 (보기) 에서도 가능합니다.
“고객별검색”을 누르신 경우에는 이름으로 고객을 찾습니다.
매입금 84,000이 있습니다. 상세 내역을 보겠습니다.
맨 위의 영수증 (9월 3일 발행)에 매입이 있었다는 의미입니다. 9월3일건 매입이 뭐였지? 하고 궁금하시면 항목을 눌러보세요.
만일 “어, 이거 말고 그전에 125,000 더 있었는데…”라면 추가도 가능합니다.
직접 입력을 눌러 추가합니다.
영수증 발생시 생긴 매입금과 기존 장부의 매입금을 합쳐서 209,000이 현재 총 매입금이네요.
== 매입 빼기 ===
이제는 이 손님이 다음 번에 오셨을때 매입을 빼는 방법입니다.
“매입빼기”를 눌러보세요.
현재 매입금이 수정한 대로 20,900으로 나오네요. 매입금은 이 금액내에서 빼주면 되겠지요? 실제 매입금을 빼는 과정은 여기를 참조해주세요. Android/결제시 매입금 빼기
iOS/미수금 관리(3)-금액확인 및 변경이력조회
iOS/미수금 관리(2)-완료취소
앞의 글에서는 iOS에서 미수금(잔금) 건을 조회하고 완료처리하는 것을 알아보았습니다(링크). 다음으로 (잘못 완료 처리한 경우) 완료 처리한 건을 완료취소하고 잔금 금액을 복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iOS/미수금 관리(1)-조회/완료처리
샵플미송에서의 미수금(잔금)관리 방식이 새롭게 변경되었습니다.
샵플카탈로그/POS에서 새 거래를 만들 때 대금을 현장에서 다 받지 않으시는 경우 온라인(입금), 대납(현금)으로 잔금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새로운 잔금 건이 자동으로 생성되며, 샵플미송에서 아래와 같이 잔금 건 목록을 조회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Android/잔금발생 및 받기
잔금이 거래처와 서로 안 맞으면 확인하는게 너무 힘들고 오래 걸립니다. 잔금을 관리하는 방법입니다. 관리를 안하시면 보기를 끄시면 됩니다 (보기). 관리를 시작하실때는 반드시 현재 잔금을 입력해주셔야 합니다 (보기)
- 잔금 발생
- 잔금 완료 (받은 후)
- 잔금 기록 보기
1 . 잔금 발생
카탈로그에서 영수증 작성시 온라인이나 대납으로 처리합니다.
이제 이 금액은 잔금으로 등록이 되었습니다. 등록 내역은 미송잔금앱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잔금에 잠실 피노키오 484,000원이 새로 추가 됐네요. 여기 있는 잔금을 최대한 빨리 완료해 나가는게 목표 겠죠?
2. 잔금 완료 (받은 후)
1시간 후 은행으로 돈이 들어왔습니다. 미수금건을 완료해야 겠네요. 완료를 체크하시면 ‘적용’ 버튼이 활성화 됩니다.
- 적용 : ‘온라인’에서 ‘온라인 완료’로 변경
돈을 받았으니 이젠 더 이상 챙겨야할 대상이 아니네요. 기본적으로는 완료된 건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위에 ‘온라인 완료’를 체크해야 보실 수 있습니다. 9/11일에 받았다고 친절하게 표시가 되어 있네요.
3 . 잔금기록 보기
왜 현재 잔금이 이 금액이지? 하실 때 은행식으로 기록을 보실 수 있습니다.
새 미수금 건을 눌러보면 잠실 피노키오에 대한 현재 미수금과 매입금이 나타납니다. 이 화면에서 피노키오의 다양한 정보를 볼 수 있는데요. 우선 미수금 변동내역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렇게 해석이 되는군요. 9/10 16:36분에 영수증 발행시 484,000의 미수금이 발생했고 온라인으로 주시기로 했다. 현재 미수금 총액은 484,000이다.
완료 후 다시 보겠습니다. 미수금을 받았으므로 -484,000을 해서 0이 되었네요.
‘내역’을 눌러 좀 더 자세히 볼까요? 9/10 16:36에 생긴 미수금을 9/11 13:31에 온라인으로 돈을 받았다는 내용이군요. 잔액은 당연히 0이고요. 대부분의 경우는 이렇게만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이게 실제 잔금이랑은 맞지 않는다고 하시네요. 앱 사용 이전에 잔금이 있어서요. 위에 ‘직접 입력’을 눌러 이전 잔금을 입력해 줍니다.
이전 잔금 350,000이 입력이 되었네요. 영수증에서 생긴게 아니라서 ‘영수증 발행’ 대신 ‘직접 입력’으로 되어 있다는 점을 눈여겨 보세요. 뭔가 문제가 생긴다면 ‘직접 입력’에서 생길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아무튼 실제 미수금인 350,000으로 맞춰졌네요.
이제 뭔가 금액이 안 맞으면 이 화면에서 시간별로 미수금이 늘어나고 줄어든 원인을 보시면서 검증하시면 됩니다.
영수증 작성때 잔금을 받고 처리하는 방법은 여기를 참고하세요.
iOS/미송처리결과→카탈로그 가져오기
새로운 기능을 소개합니다. 샵플미송에서 챙길물건을 완료처리하여 작성 중인 거래기록을 샵플카탈로그로 가져와서 한 개의 거래기록으로 합쳐서 발행하는 기능을 추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