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수증 작성시 자주 추가해야 하는 것이 “택배비”와 “부가세”입니다. 수동 입력이나 즐겨찾기로 등록해서 쓸 수도 있지만 별도의 버튼이 제공됩니다.
영수증 작성이 끝나고 하단에 “기타”를 누릅니다.
“부가세”를 누릅니다. 전체 금액의 10%를 자동으로 추가해줍니다.
동대문 의류매장용 모바일 POS
영수증 작성시 자주 추가해야 하는 것이 “택배비”와 “부가세”입니다. 수동 입력이나 즐겨찾기로 등록해서 쓸 수도 있지만 별도의 버튼이 제공됩니다.
영수증 작성이 끝나고 하단에 “기타”를 누릅니다.
“부가세”를 누릅니다. 전체 금액의 10%를 자동으로 추가해줍니다.
프린터 출력에 문제가 있을때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아래와 같이 가로 줄이 이상하다면,
설정 및 정보 > 프린터 설정하기
탁상용 Q300에 연결하고 충전기형 R300으로 설정된 경우입니다. 탁상용으로 변경해 줍니다.
이와 같이 각종 프린터 설정에 관련된 내용은 여기서 설정하시면 됩니다.
영수증을 작성한 후 각종 기록해서 서로 전달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포장을 언제했다든지 거래외 다른 것을 받기로 했다든지 같은 경우입니다. 이 경우 영수증 메모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수증 화면에서 “메모”를 클릭합니다.
이 영수증에 기록할 메모를 씁니다. 내부 직원끼리 내용도 되고, 외부 손님용도 됩니다.
메모 내용이 “내부용 (인쇄하지 않음)” 인지 “손님 공유 (인쇄함)”용인지 선택합니다.
만일, “인쇄함”으로 설정한 경우 영수증에도 출력됩니다. 영수증에 뭔가 추가로 더 써서 드려야 할때 유용합니다.
<메모 내용 확인하기>
작성된 메모는 영수증과 함께 다닙니다. 기록을 남겨야 하는 거래의 경우 모든 직원이 공유할 수 있습니다.
“메모”를 눌러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거래 내역” 앱에서도 마찬가지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물건값에 잔금까지 같이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합산 영수증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현재 잔금은 영수증을 “완료”하고 돈 받는 방법을 선택하는 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또는 설정에서 “잔금보기”를 켤 수 있습니다. (보기)
(주의) 미송잔금앱에서 버튼식으로 관리하시는 분들은 이 방식을 사용하시면 안됩니다. 잔금 총액이 꼬일 수 있습니다.
“잔금처리”를 누릅니다.
영수증을 수정하려고 취소하려다 잘못해서 복사를 못하고 취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다시 쓰지 않아도 되살리는 방법이 있습니다. (영수증 수정 보기)
“간편관리 > 최근거래내역”에서 취소한 영수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수로 취소한 경우 이를 다시 살려내는 방법입니다.
우선 같은 거래처로 빈 영수증을 하나 만듭니다.
“시계 아이콘 (이전 거래내역)”을 클릭합니다.
취소건을 포함해 이전 거래를 볼 수 있습니다.
되살리고자 하는 영수증을 클릭해서 살려냅니다.
매번 이름을 새로 짓기가 어려운 경우 번호로 상품을 관리하고 검색할 수 있습니다.
먼저 번호가 보이도록 설정에서 체크합니다.
설정 옆에 “이름” 부분을 눌러 새 창을 엽니다.
“번호”를 선택합니다.
0008을 입력하면 상품 번호가 0008인 것들이 나타납니다.
<되돌려 놓기>
실수로 번호 검색을 켜는 경우가 있습니다. 되돌리는 방법입니다.
번호 > 이름 을 누르시면 원래대로 돌아갑니다.
매장에 들려서 미송건을 가져가실 때 영수증 한 장에 쓰는 방법입니다.
미송건이 있는데 이걸 포장합니다.
배송처리 합니다.
자동 영수증이 만들어집니다. 보통 이걸 완료해서 영수증을 만드는데 판매까지 한 장에 쓰려면 노란색 POS 앱으로 이동합니다.
“미송 자료 추가”를 누르면 미송앱에서 영수증으로 만들지 않은 항목들을 모두 가져옵니다.
여기에 오늘 판매한 상품을 추가해서 한 장의 영수증으로 발행하시면 됩니다.
거래처 정보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손님들이 물건을 구매하시고 바로 다시 오셔서 변경하시는 일이 많습니다. 이 경우 영수증을 다시 쓰지 않고 변경만 반영해서 다시 발행할 수 있습니다. 완전취소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취소한 거래기록 사용”을 눌러주세요.
수정용 영수증이 생겼습니다.
판매를 미송으로 변경하고 완료를 하면 수정이 됩니다.
(주의) 날짜를 직접 입력하시는 경우는 원하시는 날짜가 맞는지 확인해주세요.
영수증을 취소할때는 완전히 취소하는 경우와 수정을 위해 취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수정을 하시려는 경우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오래된 영수증은 찾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때는 증빙번호로 취소할 수 있습니다.